강진군도서관 우리들 서평단 김미진

여름은 여행의 계절이다. 여름밤 동화 속 먼 북유럽의 궁전을 여행하는 상상은 어쩌면 게으른 삶의 일면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이젠 현실 속 지인의 SNS에 화려한 중세풍의 도시 건축물을 배경으로 환하게 웃고 있는 사진들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 세상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여행은 대부분 문명의 이기가 집적된 전통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경로이다.
도시란 무엇인가? 고대 그리스 아테네나 스파르타 제국을 떠올릴 때 도시는 국가 그 자체였다. 사전적으로는 사회적·경제적·정치적 활동의 중심이 되는 장소로서 다양한 생활 양식과 인공적인 환경 속에서 사람들이 익명의 존재로 살아가는 곳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에게 도시는 삶의 현장 이상이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동안 누적된 기억할만한 역사와 건축물 외에 소시민인 우리가 흘려놓은 또 다른 그 무엇이 있어서이다. 희미한 그것은 유명세가 없어도, 소소해도 그 도시를 생각하는 이의 개별 기억에 이끼처럼 자라는 것이어서 특별하다.

그렇다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왜 도시를 떠나 또 다른 도시로 가는 것일까? 각박하고, 삭막하고 유해한 것의 상징이 되어 버린 도시의 얼굴은 누가 만든 것일까?
이 책은 글 쓰는 건축가, 인문건축학자 유현준이 우리가 모르는 도시의 얼굴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세밀하게 관찰한 마음의 기록이다. 현재의 자신을 만든 도시에 보내는 아름다운 시편이다.

도시를 향한 그의 애정은 도시인들이 자신의 터전을 다시 바라보고 특별한 어떤 공간을 발견하기를 바라는 간절함이 담겨 있다. 저자를 인간으로서, 건축가로서 성장하게 한 도시의 요소와 장소들을 사진과 함께 기록한 단상들은 어느 순간엔 속삭임에 가깝다. 그의 부드러운 감성이 이끄는 대로 도시의 허튼(?) 구석을 살펴보는 시간은 독자가 자신이 간과한 도시의 면모를 재발견하고, 사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건축에서 내려다보는 공간은 권력을 갖는 공간이다. 아래에 있는 사람들은 나를 볼 수 없고 나만 그 사람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펜트하우스가 비싸고 회장실은 높은 곳에 있고…그렇다면 건축에서 가장 높은 공간은 어디일까? 옥상이다. -178쪽

여행사나 매체에서 소개된 핫플레이스나 맛집을 찾아 도시를 소비하는 대중성에서 잠시 벗어나 자신과 연결된, 자신에게만 특별한 도시를 추구해 보면 어떨까? 저자가 발견한 새로운 도시의 얼굴은 우리가 맹목적인 삶의 현장에서 무심히 흘려놓은 흔적이 분명하다.

저자처럼 애틋하게 살피고 바라보고 끌어내면 우리 삶의 현장도 먼 유럽의 고대도시 못지않은 비화를 품게 될 것이므로, 무분별한 콘텐츠의 조작이 아닌 진정한 도시의 내면을 찾아 숨 쉬게 하는 소소한 스킬을 배워봄 직하다. 지금 갈 수 있는 거리에서 골목에서 새로운 단서를 찾아 나설 여행의 시작을 알리는 책이다.